목록전체 글 (80)
스터디 용 블로그
인터넷으로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홈 디렉토리 내의 Index.html 파일을 보여주게 됩니다. 아파치 설정 파일(httpd.conf) 파일에 아래와 같이 DirectoryIndex 설정이 아래와 같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도메인으로 접속시에 홈 디렉토리내의 Index.html 파일을 출력하며, Index.html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index.htm -> index.php의 순서로 찾아서 출력하게 됩니다. 만약 홈 디렉토리내의 main.html파일로 홈페이지가 뜨게 하려면, 아래의 DirectoryIndex 부분을 main.html 로 변경하면 되겠죠.?? ^^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php 웹브..
Maven - 이클립스 Maven 연동 시 plug in 에러 날 경우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 - Execution default-testResources of goal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 plugin:2.4.3:testResources failed: Plugin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2.4.3 or one of its dependencies could not be resolved: Failed to collect dependencies for org.apache.maven.plugins:maven-resources-plugin:jar:2..
제일 처음에 하는 것이 토드에서 해당하는 테이블을 Select * from tableName 하고 나면... 조기 빨강 네모 부분을 누르면 Excel 파일로 Export 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화면이 짜잔 Export format 를 설정하고 Save to 에서 엑셀 파일 명을 지정하면 된다. 아! 그리고 Write Wide Strings 옵션은 토드에서 엑셀 파일을 만들때 글자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럴때 저 옵션을 켜주면 그러한 문제가 해결 된다고 한다. 토드에 무지 막지하게 좋은 기능들이 많다. 깨구리 짜식! 특정 열만 선택해서 excel로 export
=== Cross-Browser 문제를 절실히 실감하고 있당;; Firefox에선 제대로 돌아가는 것이 Explorer에선 잘 되지 않는다. 코드는 아래와 같다. function addOpt() { var sel = document.getElementById("sel"); //select box var opt = document.createElement("input"); opt.text = "optText"; opt.value = "optValue"; sel.appendChild(opt); } Firefox에선 잘 돌아가지만 익스플로러에선 opt.text가 적용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1) innerHTML을 사용한다. opt.text = "optText"; 대신 opt.innerHTML..
http://wickedmagic.tistory.com/178
예외 처리 Exception try-catch-finally, throws, 사용자 정의 예외 자바는 프로그램 실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처리문을 제공한다.자바의 예외 처리는 예외가 발생한 메서드 내에서 직접 처리하는 방법과 예외가 발생한 메소드를 호출한 곳으로 예외 객체를 넘겨주는 방법, 그리고 사용자 정의 예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1. 예외(Exception)이 발생한 메소드 내에서 직접 처리 (try-catch-finally) try{ 예외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장들; }catch(예외 타입1 매개변수명){ 예외타입1의 예외가 발생할 경우 처리 문장들; }catch(예외 타입 n 매개변수명){ 예외타입 n의 예외가 발생할 경우 처리 문장들; }finally{ 항상 수행할 필요가 있..
http://nown2210.tistory.com/92
제목: 파라미터값을 넘길때 암호화는 어떻게 하나요? 9 분류: 질문 이름: 무녀니 등록일: 2012-07-05 11:10 조회수: 2500 / 추천수: 0 추천 농약팔이소년 post로 바꿔도 어차피 평문으로 갈꺼고 눈으로 못알아보게만 넘기려면 base64같은걸로만 인코딩해서 넘기면 될꺼같은데 확실히 하시려면 https를 사용하시는게 제일 좋을것 같은데요..다른 방법이 있으려나요..2012-07-05 11:16:41 추천토루토루 단순 인코딩이 아니라면 base64가 맞겠네요ㅎ 대신 asp에서 base64를 사용하려면.. 관련 컴포넌트를 사용하거나... 직접 펑션을 작성해야 했던 기억이;;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네요ㅋ 그러고보면.. 왠만한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는 java가 참 좋아요 ㅜㅜ2012-07-05 ..
아규먼트(argument) 와 파라미터(parameter) 흔히들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하지만 이 둘은 분명히 차이가 있다. PARAMETER란? 한글 그대로 번역하면 '매개변수'란 뜻이다. 즉, 함수를 정의 할 때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임의의 값을 의미한다.가령 function f(x,y){return x+y;};에서 x,y가 파라미터라고 할수 있다. 그럼 ARGUMENT란?우리말로는 '인수' 라고 번역되는데, 함수를 호출할 때 이 때 사용하게 되는 일련의 값들을 아규먼트라고 부른다.예컨대 위에 파라미터의 예를 들었던 함수를 호출한다고 하면,f(3,4);에서 3,4등이 아규먼트이다. 즉, '파라미터의 값으로 아규먼트 3과 4를 대입하였다'라는 의미가 성립하는것이다. 이처럼 파라미터와 아규먼트는 분명 같..
try{// ..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구문!}catch(Exception e){// .. 예외 발생시 처리 구문!}finally{// .. 꼭 실행해야하는 구문!} 전 코딩을 할 때 위와 같이 이해 하고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여기서 몇가지 생각해야 할 게 있더라구요!1. try 안에 return.2. catch 안에 return.3. finally 안에 return. 한번 생각해보세요....... 결론.1. try 안에 return문 => return은 정상 동작으로 종료가 되었다는 의미이므로 finally 구문을 거쳐 정상 종료2. catch 안에 return 문 => catch 안에 return문은.. 거의 쓸일이 없을듯... 똑같이 finally 구문을 거쳐 정상 종료.3. f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