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 (10)
스터디 용 블로그
아파치2.2.3은 윈도XP에서도 동적공유객체(DSO:Dynamic Shared Object)와 다중처리 모듈(MPM:Multi-Processing Module) 모드로 작동 된다. 아파치 매뉴얼에 나와 있는 것을 근거로 한다면 MPM은 기존의 프로세스 기반(process-based) 서버 보다는 적은 시스템 자원으로 여러개의 요청을 처리한다고 기술되어져 있다. 이 MPM을 제어하기 위해서 중요한 지시어(directive)는 ThreadsPerChild이며,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와 최대연결(MaxClients)을 어떻게 설정하느냐 그리고 얼마나 많은 스레드(threads)가 메모리에서 작동하느냐 또는 적절하게 무리없이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웹서버의 서비스 능력(요청에 대응) 및 성능이 결..
카페24(cafe24.com) 등 호스팅 업체의 웹 서버에 올려진 JSP 파일 또는 자바(Java)의 클래스(Class) 파일을 분명히 수정-또는 수정된 파일로 덮어쓰기- 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롬(Chrome) 등의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되는 소스 코드나 사이트의 작동 상황에는 수정한 내용이 반영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FTP 등으로 서버의 파일을 열어보면 수정되어 있는데,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파일은 수정이 안 되어 있는 것이죠. 오! 마이! 갓! -o-; 1. 톰캣(Tomcat)의 JSP 캐시(Cache) 파일!?FTP에서나 Telnet(SSH)에서 확인되는 서버(Server) 측의 파일은 수정이 되어 있지만, 클라이언트(Client)의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파일은 수정이 안 되어 있다면 아마도 톰캣의..
환경WAS : JEUS 목적웹 페이지를 개발할때 중복 부분은 페이지로 따로 만들어 나중에 각 VIEW JSP 에 INCLUDE를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이때 이 피 INCLUDE된 CHILD JSP 파일을 새로 배포하게 되면 WAS는 이 파일이 새로 갱신된 사실을 인지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이유는 WAS는 일반적으로 JSP 파일의 수정 일자를 보고 현재 자신이 빌드한 JSP 파일의 수정 시간과 비교해 JSP파일이 더 나중의 것이라면 다시 빌드해 갱신하게 되는데, 이 JSP 파일이 PARENT JSP(INCLUDE한) 일경우 , CHILD JSP가 갱신되었더라도 WAS는 PARENT 파일의 수정일자만 확인하기 때문에 새로 빌드하지 않아 갱신되지 않는 경우이다.이럴 경우를 위해 JEUS에서..
EBMain.xml 파일에 다음 태그 추가 truecs JEUS에서는 Include를 통한 JSP 파일은 기본적으로 변경되어 보이지 않는다.그래서 이렇게 옵션을 따로 설정해줘야 Includ된 JSP 파일이 변경될 때 적용된다. http://dlevelb.tistory.com/636
webToB 종료 : wsdownwebToB 시작 : wsbootwebToB 컴파일 : wscfl -i http.mhttp.m 경로 : appl/web/config http://dlevelb.tistory.com/643
/app/was/apache-tomcat-6.0.39/work/CatalinaCatalina 폴더 삭제 http://dlevelb.tistory.com/639
http://hsj0511.tistory.com/205
http://rocabilly.tistory.com/27
Ajax가 필요한 일이 발생해서, 급조해서 Ajax를 공부했다.공부한 책은 Ajax 입문이며, 처음 약 5~60 페이지만 읽었다. 급조한 내용이니 너무 신뢰하지 말 것. 아.. 그리고 이 책, 중대한 오탈자가 은근히 있다. 혹시 이 책으로 공부하고자 한다면 오탈자를 확인한 뒤에 공부해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이는 것이 좋겠다.아무튼, 책의 내용중 Ajax의 기본적인 사용에 관한 문제를 정리하고, 또 JSP/Servlet 엔진에서 Ajax사용시에 발생하는 한글 인코딩(encoding)문제의 처리방법도 정리해 둔다.Ajax의 개념에 관한 설명은 인터넷 상에 차고 넘치므로 생략.* A Simpler Ajax Path가 Ajax 입문에 좋은 글. Ajax의 개발 순서 1. XMLHttpRequest 객체 생성..
http://www.nextree.co.kr/p9521/